어촌의 재발견
서해, 새 희망이 떠오른다
경기·인천을 중심으로 한 서해 바다가 새로운 가능성을 맞고 있다. 고령화와 함께 낙후된 환경 등으로 외면받아왔던 어촌이 4차 산업시대를 맞아 해양산업을 비롯한 휴양, 레저, 관광의 현장으로 다시금 주목받으면서 그야말로 '핫플(핫플레이스)'이 됐다.
아직 막 걸음마를 뗀 수준이지만, '삼시세끼-어촌편'이나 '도시어부'와 같은 TV프로그램이 어촌의 매력을 노래하고 있고, 남들보다 먼저 가능성을 확인하고 어촌으로 돌아간 귀어인들이 경제적 성공을 거두면서 경기·인천의 바다는 신산업의 기항지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 생산의 공간으로 상징되었던 바다가 기술의 발전과 시대의 변화로 휴식의 공간으로 재조명 받고 있다. 인천시 강화군 화도면 어촌마을도 이러한 시대 흐름에 맞춰 변화해 현재는 바다를 배경으로 한 카페와 펜션들이 들어섰고 입소문을 타면서 휴식, 힐링의 '핫플(핫플레이스)'이 되었다.
'새로운 어촌마을' 향해…
'N차 산업'으로 항해
화성 백미리의 성공비결은
백미리 어촌마을은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어촌 중에서도 가난한 마을로 손꼽히는 곳이었다. 마을 어장조차 확보하지 못해 마을 앞에 갯벌을 두고도 변변한 작업을 못하기도 했다.
특히 1990년대 중반부터 시화호와 화옹방조제가 들어서면서 물길이 바뀌어 마을의 주 수입원이었던 바지락과 모시조개, 낙지, 굴 등 주요 수산물이 자취를 감추면서 마을을 떠나는 주민이 많았다.
하지만 2004년부터 어촌체험마을을 운영하면서 백미리는 어촌 성공신화를 쓰기 시작했다. 해산물 채취 체험부터 배낚시와 전통어법 체험을 할 수 있고, 카누·카약, 바다 래프팅 등 해양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마을을 꾸미면서 관광객은 물론, 떠났던 주민들도 다시 백미리로 돌아오고 있다.
[
새로운 부촌으로
떠오르는 어촌
]
내년 안산에 경기도 첫 귀어학교
귀어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고 어업 경영을 전수하는 지원 사업이 금융 교육 체험 등 다양한 분야에 마련돼 있어 귀어를 준비하는 이들에게 힘이 되고 있다.
귀어인을 대상으로 지원금을 지급하거나 저렴한 금리로 대출을 해주는 사업은 귀어 창업 주택구입과 청년어촌 정착 지원, 수산업경영인 선발 지원이 있다.
특히 귀어창업 주택 구입은 귀어인과 재촌 비어업인(어촌에 살면서 어업을 경영하지 않는 사람)에게 창업 자금 최대 3억원 이내, 주택마련자금 세대당 최대 7천500만원 이내를 2%의 저금리로 대출해정착을 돕고 있다.
'김 양식업 3년 차' 이청수 씨
"지난 5월부 터 두 달간은 김 양식에 쓰던 그물을 걷어 해초 등 들러붙은 잡조류를 썩히는 '휴업기'입니다. 이땐 주로 가족들과 여행을 가서 시간을 보냅니다."
인천 옹진군 영흥면 선재리에서 김 양식업 3년 차에 접어든 이청수(40·사진)씨는 "도시에서 직장을 다닐 땐 연차 한 번 쓰는 것도 쉽지 않았지만, 지금은 한결 여유가 생겼다"며 젊은 귀어인으로서 어촌의 삶을 설명했다.
제 값 못받고 팔려가는 경인특산물
브랜드 부족은 숙제… 꼬막은 '벌교' 김은 '광천' 대표상표
"우리 땅에서 나왔지만 우리 거라는 말을 못해. 품질이 우수해도 헐값에 팔아야 한다는 게 분하지."
경기·인천지역에서 생산되는 신선한 해산물이 시장에서는 헐값에 거래되는 게 현실이다. 브랜드에 밀려 제 값을 받으려면 자신이 생산한 상품을 '다른 지역에 시집을 보내야 하는 상황'이어서 경기도와 인천시, 지역 수협 등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경기·인천 꼬막은 전남 보성군 '벌교'라는 지역 브랜드를 달고 판매되는 경우가 많고, 김은 충남의 가공공장을 거쳐 '광천김' 등의 이름으로 식탁에 올려진다.
머
물
고
싶
은
안
식
처
우
리
가
바
라
던
바
다
[
[
신성장동력 마리나·해양레저